2024년 신상 호텔 리스트
최근에 오픈한 호텔을 찾는다면 살펴보세요
부산 추천 호텔: 라발스 호텔
전 세계 상식닷컴 여행지도 다운로드
구글 지도 네비게이션과 연결되므로 강추!
Get it on Google Play
경기도 > 광주시

개원사(경기)

업데이트 날짜: 2022-12-14

Description

[관광지]
* 한양을 지키던 호국 사찰, 개원사 *

개원사는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산성리 198-5번지에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교구 본사인 조계사의 말사다. 장경사, 망월사와 더불어 국가문화재 사적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는 남한산성 안에 위치하고 있다. 인조 때 임진왜란으로 파손된 남한산성을 새롭게 보수하는 일이 있었다. 이때 인조는 선종 지도자 벽암 각성을 팔도 도총섭으로 임명하고 승군을 모아 남한산성을 보수하게 했다. 남한산성은 전적으로 승군에 의해 보수되게 되었고, 산성의 보수 및 방어의 역할 역시 승군에게 주어졌다. 이를 계기로 1624년에 개원사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이후 남한산성 안에는 승군이 주둔할 7개의 사찰을 더 창건하게 되었고, 이 모든 승군의 본영 사찰로 개원사가 활용되었다.

이로써 개원사는 한양을 지키는 호국사찰의 중심이 되었고, 폐사되기 이전까지 조선불교의 중심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1894년에 들어와 승번제도가 폐지되면서 사세가 기울기 시작했다. 결정적으로는 1907년에 들어와 일제가 남한산성 안에 위치한 사찰들이 화약을 많이 보유하고 있다는 이유를 들어 사찰들을 철저히 파괴하였다. 장경사에 전하는 기록에 의하면 개원사는 이때 폐사가 된 듯하며, 1909년에 개원사의 루를 장경사로 이건했다고 한다. 남한산성은 사적 이외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수많은 관광객들의 휴식처로 기능하고 있다. 서울 경기지역에서 거의 유일하게 대단위의 소나무 숲이 보존되어 있어 산림욕에 최적인 장소가 되고 있으며, 도시생활에 지친 대도시민들의 휴식장소로서, 그리고 등산장소로서 매우 훌륭한 공원의 역할을 하고 있다.

* 개원사의 문화재 한눈에 보기 *

개원사에는 승군의 본영사찰이었음을 보여 주듯이 수많은 성보문화재가 전하고 있다. 현재 개원사는 경기도 시도기념물로 지정 보호되고 있으며, 경내에는 비록 문화재로 지정되지는 않았으나, 매우 수준 높은 성보문화재들이 보존되어 전하고 있다. 개중에는 17세기 이전의 것으로 보이는 유물 역시 있어 인조 때 개원사가 건립되기 이전부터 이곳에 혹은 주위에 커다란 사찰이 경영되지 않았을까 추측된다. 화현전에 모신 약사여래불, 불유각에 모신 석불, 또한 외부에 따로 불단을 조성하고 모신 석가모니불 등은 오랜 세월동안 승군의 중심사찰 역할을 해온 개원사의 역사를 조용히 얘기해주고 있다.

Information

Address: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 731-73 (12700)
data provided by Korea Tourism Organization
More Places